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알리의 블로그

2016년 서울지방직 7급 국사 기출문제 요약 본문

역사/한국사

2016년 서울지방직 7급 국사 기출문제 요약

디디(didi) 2016. 7. 19. 20:11
반응형

2016년 서울지방직 7급 국사 기출문제 요약

 

1. 조선 후기 중인층과 서얼은 자신들의 기록물

이진흥 연조귀감 (향리의 역사와 인물 정리)
조희룡 호산외기, 풍요삼선(위항인들의 시집)
유재건 “이항견문록 (서얼의 역사)

 

2. 통일신라의 통치 체제

13개의 관부가 병렬적으로 독립
각 부의 장관은 여러 명인 경우가 많음

중앙과 지방에 각각 9서당과 10정을 두었으며 9서당은 군사력의 핵심
독서삼품과는 귀족들의 반발로 실패

 

3. 강화도 조약 이후 시찰단 파견 순서
김홍집 등의 2차 수신사(1880)
박정양 등의 조사 시찰단(1881. 4)
김윤식 등의 영선사(1881. 9)
민영익 등의 보빙사(1883)

 


4. 김부식 삼국사기 의 시대상황

신라 ․ 고구려 ․ 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솥발처럼 대립하면서 예를 갖추어 중국과 교통하였으므로, 범엽(范曄)의 한서(漢書)나 송기(宋祁)의 당서(唐書)에 모두 열전(列傳)을 두었는데, 중국의 일만을 자세히 기록하고 외국의 일은 간략히 하여 갖추어 싣지 않았습니다.
또한 그 고기(古記)라는 것은 글이 거칠고 졸렬하며 사적(事跡)이 누락되어 있어서, 임금된 이의 선함과 악함, 신하된 이의 충성과 사특함, 나라의 평안과 위기, 백성들의 다스려짐과 혼란스러움 등을 모두 드러내어 경계로 삼도록 하지 못하였습니다.

-삼국사기 – 서문 -

김부식은 고려 중기의 유학자다.

 

삼국사기와 관련된 시대의 사건
이자겸의 난이 진압된 후 15개조의 유신령이 발표
예종과 인종은 관학 부흥에 힘쓰고 유학을 진흥


5. 고려시대의 군사제도 2군 6위
중앙에는 응양군과 용호군, 그리고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천우위, 감문위 등을 두어 국왕 호위, 수도 경비, 국경방어, 경찰, 의장, 궁성과 도성문 수비 등의 역할을 행하게 하였다

장군들로 구성된 장군방, 상장군 ․ 대장군들로 구성된 중방이라는 합좌 기관이 있었다.


6. 5세기의 사건
장수왕의 남하정책을 대항하기 위해 개로왕은 중국 북조의 위(魏)에 사신을 보내 군사 원조를 청하였다.


7. 고려 시대의 한림원
왕명을 받아 글을 짓는 기관이다 태조 때 태봉의 . 제도에 따라 원봉성을 두었고, 뒤에 학사원으로 고쳤다.

문종 때 학사승지 1인을 두고 정3품으로 삼았고, 학사는 2인을 두고 정4품으로 삼았다. 충렬왕 원년에 다시 문한서로 고쳤다.
- 고려사76, 백관지 1, 예문관 -


8. 물산장려운동 시대의 사건들
입어라, 조선 사람이 짠 것을
먹어라, 조선 사람이 만든 것을
써라, 조선 사람이 지은 것을
조선 사람, 조선 것.
- 물산 장려 운동 발기문) -

 

기회주의를 배격하고 민족단일당을 지향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

물산장려운동(1920년대 전반)
신간회 결성(1927년)


9. 발해의 사회 문화
발해의 영광탑은  국의 영향을 받은 전탑(벽돌 탑)이다
교역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사절단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유학 교육을 목적으로 주자감을 설치하고 귀족 자제들에게 유학을 가르쳤다.
전체 인구 구성 가운데 말갈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10. 황현의 절명시와 관련된 시대 상황
새 짐승도 슬피 울고 산악 해수 다 찡기는 듯
무궁화 삼천리가 이미 영락되다니
가을 밤 등불 아래 책을 덮고서 옛일 곰곰이 생각해 보니
이승에서 지식인 노릇하기 정히 어렵구나.

 

육군 대신 데라우치는 2천여 명의 헌병을 데리고 들어와 경찰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고, 순종에게 양위의 조서를 내리도록 강요하였다.


11. 신민회의 활동
1. 국민에게 민족 의식과 독립사상 고취
2. 동지를 발견하고 단합하여 국민 운동 역량 축적
3. 상공업 기관 건설로 국민의 부력(富力) 증진
4. 교육 기관 설립으로 청소년 교육 진흥

 

평양에 대성학교, 정주에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평양 근교에 자기(磁器)회사를 설립, 운영하기도 하였다.
평양과 대구에 태극서관을 설립하여 출판 사업을 벌였다.

신민회는 강점 이후인 1911년 105인 사건을 계기로 해체되었다.

(통감부는 설치는 1905년 을사늑약 직후이며 1910년 이후에는 조선총독부로 대체되었다.)


12. 조선 시대 과거제도
① 문과의 소과에는 경학에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진사과와 경학의 재능이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는 생원과가 있었다.
② 소과의 1차 시험인 초시는 각 도의 인구 비율에 따라 선발 인원을 배분하였다.
③ 소과 합격 증서를 백패, 대과 합격 증서를 홍패라 하였다.
④ 무과에는 서얼도 응시가 가능하였다.


13. 우리나라의 역대 대통령 선거
① 1979년 대통령 선거에서 10대 대통령으로 최규하가 당선되었다.
②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 11대 대통령으로 전두환이 당선되었다.
③ 1978년 대통령 선거에는 민주공화당 후보로 박정희가 단독 출마하였다.
④ 1971년 대통령 선거에는 민주공화당 후보로 박정희, 신민당 후보로 김대중이 출마하였다.

 

14. 조선 후기 토지 개혁론

연암 박지원은 한전론(限田論)을 제안하였는데,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정하면 토지 소유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풍석 서유구는 둔전론(屯田論)을 장하였는데, 소농 생활의 안정을 위해서는 세금을 줄일 수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주제는 인정했다.
다산 정약용은 정전론(井田論)을 제시하였는데, 구획이가능한 곳은 정자(井字)로, 불가능한 곳은 계산상으로 구획한 뒤 노동력의 양과 질에 따라 토지를 등적으로 분급할 것을주장하였다.
성호 이익은 농가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매 호마다 영업전(永業田)을 갖게 하고, 그이외의 토지는 매매를 허락하여 점진적으로 토지 균등을 이루어 나가자고 주장하였다.

 

15. 1894년 제1차 갑오개혁 동학 농민운동군의 주장
과부의 재가 허용
공 ․ 사 노비법 혁파

 

16. 기유약조의 내용
1. 대마도주(對馬島主)의 세사미두(歲賜米豆)는 100석으로 한다.
1. 대마도주의 세견선(歲遣船)은 20척으로 한다.
1. 왜관의 체류 시일은 대마도주가 특별히 보낸 사람은 110일, 기타세견선은 85일이고, 표류인 등을 송환할 때는 55일로 한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 기유약조(1609, 광해군)를 체결했다.

 

기유약조 내용 요약

부산포에 왜관 설치
세견선 20척, 세사미두 100석으로 무역량을 제한


17. 국보와 그 제작 시대
통일신라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상원사 동종, 성덕대왕신종, 보은 법주사 석련지
백제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조선 - 징비록, 비변사등록, 송시열 초상
고려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안향 초상,


18. 여운형
김규식과 함께 좌우익의 대표로서 10인의 좌우합작위원회를 구성하여 남북한 통일정부 수립운동을 벌였다.


19. 4.19 혁명 민주당 정부의 정책
외자 도입과 경제 원조 확대를 통한 경제 개발 계획 추진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 및 유엔 감시하의 남북한 자유선거에 의한 통일 달성
군비 축소와 군의 정예화 추진을 통한 국방력 강화 및 군의 정치적 중립 확보


20. 조선 시대의 한양
한양은 통치의 중심 공간인 경복궁을 백악산아래 남향으로 짓고 그 좌우에 종묘와 사직을 건설하였다.

남산은 안산에 해당한다.

안산이란 주산(主山)·청룡(靑龍)·백호(白虎)와 함께 풍수학상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이며, 가택이나 묘택이 있는 혈(穴) 앞의 낮고 작은 산을 의미한다.

 

참고 도성의 4대문
숭례문(남대문)
흥인지문(동대문)
돈의문(서대문)
숙정문(북대문)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