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의 블로그
이자겸의 난은 무엇인가 본문
반응형
이 사건의 발단은 경원 이씨 세력이었다.
이자연의 딸이 문종의 왕비가 되면서부터 이들은 강력한 외척세력이 되었고 이후 2번의 난으로 고려에 큰 혼란을 일으켰다
첫 번째는 12대 순종, 13대 선종, 14대 헌종의 짧은 왕위 교체의 혼란기에 이자의가 난을 일으킨 것이다.
이 난은 계림공이 진압을 했는데 그가 나중에 숙종이 된다.
두 번째 난은 이자연의 손자인 이자겸이 자신의 딸이 예종의 왕비가 된 후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난을 일으킨 것이다.
예종은 여진정벌에 큰 공을 세운 윤관을 자신의 세력으로 만들어 왕권을 강화하려 했으나 반대 세력들은 그를 모함해서 파면시켰다.
그는 복직이 되고 나서 얼마 후 사망했고 이제 왕실은 이자겸의 손아귀에 넘어가게 된다.
예종 사후 인종이 즉위하자 그는 왕의 측근 세력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한다.
인종은 이에 위협을 느끼고 그를 제거하려 하나 오히려 이자겸의 반격에 실패하게 된다.
이자겸은 반대파를 제거하고 실권을 모두 장악하게 된다.
이 사건을 이자겸의 난이라 한다.(1126년)
이자겸은 이후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폈고 금과는 적당히 타협하는 외교를 펼쳤다.
이후 이자겸과 척준경 사이의 갈등이 일어나는데 인조는 이를 이용해 이자겸을 제거한다.
척준경은 김부식, 정지상에 의해 귀양을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문벌귀족간의 혼란상은 왕실의 권위를 떨어뜨렸다.
이후 김부식의 개경파 귀족세력과 외척세력인 정안 임씨 세력이 대두한다.
또한 정지상을 중심으로 한 서경출신 귀족들의 목소리가 커지게 된다.
이들은 서경천도를 주장하며 다른 귀족들과 큰 갈등을 보였다.
반응형
'역사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신정권에서 중방의 역할 (0) | 2016.03.18 |
---|---|
귀족의 특권 음서제도 공음전 (0) | 2016.03.18 |
묘청의난 이 일어난 이유 (0) | 2016.03.18 |
고려 무신정권의 성립과정 (0) | 2016.03.18 |
고려 말 왕들의 정치 개혁은 연이어 실패한다 (0) | 2016.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