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알리의 블로그

이성계는 왜 위화도 회군을 했을까 본문

역사/한국사

이성계는 왜 위화도 회군을 했을까

디디(didi) 2016. 3. 18. 22:45
반응형

공민왕은 원나라로부터 철령위를 되찾아 온다.
그런데 원을 이어 건국한 명나라는 철령위를 자신의 영토라 주장하며 다시 철령위를 설치하겠다고 한다. (우왕)
당시 고려는 명나라의 무리한 조공요구에 불만이 있었는데 조정에서는 명에 대한 입장의 차이가 있었다.


고려조정은 명의 요구에 반발해 요동을 정벌하기로 한다.
이성계는 4불가론을 들어 반대하나 왕과 최영의 강력한 주장에 밀려 요동 정벌을 시행하게 된다.

 

최영은 당시 이인임 일파를 몰아내고 고려 조정의 실권을 쥐고 있었다.

이인임은 우왕을 추대한 후 실권을 쥐고 전횡을 일삼았던 친원파 세력이었다.

 


그런데 위화도로 향하던 중 군사는 도망치고 도중에 비가 내려서 압록강을 건너기 어렵게 되는데

이때 이성계는 회군을 결심하고 다시 개경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최영과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한다.


이 사건을  위화도 회군이라 한다.

 

위화도는 압록강 안에 있는 작은 섬을 말한다.

신의주 위쪽에 위치한다.


우왕과 최영은 이성계의 철군에  반격을 준비하지만 결국 개경이 함락되고 우왕과 최영은 포위된다.


사건의 당사자인 이성계와 조민수는 우왕을 폐위시키고 강화도로 유배 보낸다.
최영은 유배한 후 처형한다.
그리고 우왕의 아들인 창왕을 왕으로 세운다.
조민수는 우시중, 이성계는 좌시중이라는 관직을 차지한다.


이후 이성계와 조민수의 주도권 싸움에서 이성계가 승리한다.
이성계는 조민수를 유배했고, 창왕은 신돈의 후손이라고 하며 폐위시킨다.
이후 공양왕을 왕으로 세우고 이성계는 완전히 권력을 장악한다.

이성계의 4불가론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일은 옳지 않다
2.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3. 요동을 공격하는 사이 왜구가 침범할 것이다.
4. 덥고 비가 많이 와서 활이 눅눅해지고 병사들이 질병에 걸릴 염려가 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