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알리의 블로그

두뇌개발 프로젝트 기억력 높이기 숫자기억법 국사 연대 기억법 본문

기억법/숫자기억법

두뇌개발 프로젝트 기억력 높이기 숫자기억법 국사 연대 기억법

디디(didi) 2016. 7. 15. 18:04
반응형

두뇌개발 프로젝트 기억력 높이기 숫자기억법 국사 연대 기억법

기억법에 대한 강의다


분명 기억력을 높이는데, 시험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시간에는 알아볼 것은 숫자 기억법 중에서 가장 간단한 1자리 숫자 기억법이다.


숫자는 의미 없이 나열되어 있는데 숫자가 길어지면 정말 외우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런 숫자를 기억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


그건 바로 숫자를 이미지(물체,사람)와 연결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형태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숫자와 연상이미지
숫자는 0은 달걀(계란)을 생각한다.
숫자는 1은 지팡이를 생각한다.
숫자는 2은 오리를 생각한다.
숫자는 3은 수갑을 생각한다.
숫자는 4은 배(보트)를 생각한다.
숫자는 5은 갈고리(크레인) 생각한다.
숫자는 6은 열쇠를 생각한다.
숫자는 7은 부메랑을 생각한다.
숫자는 8은 눈사람을 생각한다.
숫자는 9은 테니스 라켓을 생각한다.


일단 숫자와 이미지를 빨리 떠올릴 수 있도록 연습 한다.
물론 숫자와 이미지를 각자 다르게 연결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숫자 0은, 빵, 도너츠와 연결해도 될 것이고 숫자 5는 바가지, 숫자 7은 숫자 8은 안경과 연결할 수 있다.


준비가 되었으면 한국사의 중요 년도를 외워보자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연도는?
1876년


강화도조약 – 조선이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일본의 치외법권을 인정한 불평등 조약


이제  강화도 조약 체결연도 1876년을 외우기 위해서 떠올려야 할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지팡이, 선글라스, 열쇠, 호미


그렇게 이렇게 이미지만 나열하면 의미가 없으니 기억하기 힘들다.
이 이미지를 이용해서 이야기를 만들어야 기억하기 쉽다.


정답은 없지만 필자는 이렇게 연상을 해보았다.
강화도로 여행을 떠나는 날 아침 8시에 시계 알람소리가 난다.


여행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긴다.
썬글라스, 부메랑, 열쇠, 호미


산을 올라가기 위해서 지팡이가 필요하다.
뜨거운 햇살을 막기 위해 선글라스가 필요하다.


숨겨진 유적을 찾았을 때 비밀의 문을 열기 위해서 열쇠가 필요하다.
땅에 묻혀 있는 유물을 파내기 위해서 호미가 필요하다.


이제 강화도 조약 체결연도를 생각할때는 위의 이야기를 떠올리면 된다.
그냥 외우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 기억이 될 것이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