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알리의 블로그

여정 기억법으로 국사 암기하는 방법 본문

기억법/여정기억법

여정 기억법으로 국사 암기하는 방법

디디(didi) 2016. 3. 19. 01:34
반응형

여정 기억법으로 국사 암기하는 방법


여정기억법은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억할 수있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여정이란 여행에서 말하는  경로 과정과 같은 것이다.

그러니깐 여정기억법은 여행을 하는 것처럼 기억을 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언젠가 책에서 읽었던 한 페이지의 어떤 구절은 생각이 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여행을 하면서 보았던 풍경과  건물과 거리의 모습은 시간이  많이 흘러도 더 잘 기억을 할 수 있다.

 

그러면 기억법의 여정을 만들어 보기로 하자

여기서는 실제로 여행을 떠날 것은 아니고 그냥 내가 잘 아는 곳을 이용해보자

 

바로 내가 사는 집을 여정으로 이용하면 된다.

아래 그림에 보는 것처럼 8개의 여정을 만들 수 있다.

 

대문

마당

현관

거실

작은방

큰방

부엌

화장실

 

 

아 나의 집은 이렇게 안 생겼는데 ……. 아파트인데

이런 생각이 드는 분은 자신이 원하는 데로 여정을 변경하면 되겠다.

 

자 그럼 여기에 순서를 매길 것이다.

순서는 내가 집에 가서 습관적으로 들러 보는 순서를 말한다.

 

이순서는 내가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라서 외우지 않아도 절대 잊지 않을 것이다.

 

대문(1)

마당(2)

현관(3)

거실(4)

작은방(5)

큰방(6)

부엌(7)

화장실(8)

 

 

 

그럼 위에서 만든 여정을 활용해서  한국사의 중요 사건을 외워보자.

뭐가 좋을까?

 

다음 16개의 사건을 순서대로 외워보자

16개라고 부담 갖지 말고 걍 해보기로 하자

 

1. 흥선대원군 등장 (1863)

2. 병인양요 (1866)

3. 신미양요 (1871)

4. 강화도 조약 (1876)

5. 임오군란 (1882)

6. 갑신정변 (1884)

7. 거문도사건 (1885)

8. 방곡령 (1889)

9. 동학농민운동 (1894)

10. 을미사변 (1895)

11. 아관파천 (1896)

12. 대한제국 성립 (1897)

13. 을사조약 (1905)

14. 고종황제 퇴위 (1907.7.21)

15. 한일신협약(1907.7.24)

16. 한일병합조약 (1910)

 

사건은 16개이고  장소는 8개니까 한 장소에 2개의 사건을 넣어야 한다

 

사건들은 어떤 이미지 사물 사람과 연상해서 기억을 하는게 좋다.

처음엔 연상을 하는 데는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지만 한번 연상이미지를 만들면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사건을 만들면서 중요 단어는 굵은 글자로 표시를 해두었다.

 

1. 귀가하는 길 대문을 향해 걸어가는데 누군가 이웃사람들이 보인다.
다가가서 보니 흥선대원군으로 아파서 요양원에 가는 것 모습이다.


2. 마당에 들어서는데 커다란 실외 TV가 있고 방송이 나오는데 태양전지로 작동이 되고 있다.

엄마와 친구분들이 방송을 보고 있다.


방송에서는 만화 데렐라의 이야기 나오는데 그녀의 새엄마는 다른 사람들 있을때는 잘해주는 것 같지만 실제 집에서는 의 탈을 쓴 것처럼 데렐라를 구박한다

신데렐라는 왕자와 춤을 추다가 마법이 풀리기 전에 급하게 나오는데 신고 있던 유리구두 한쪽이 벗겨진다.

그러나 강화유리로 만든 구두라서 깨지지 않는다.

 

3. 현관에서 들어서니 이모가 사온 군밤과 구운 계란 몇 상자가 보인다.
값이 저렴해서 많이 산다고 한다.

By Jytim (Own work)

 

4. 실에는 거문고 연주 소리가 나는데 알고 보니 TV 송에서 나오는 소리였다.

거실에는 검정색 벽걸이 TV가 있다.

By ko:사용자:김준민 (ko:그림:Geomungo.jpg)

 

5. 작은방에는 책꽂이와 컴퓨터가 있다.
책꽃이에서 한국사 책을 꺼내고 유튜브 영상 강의를 켜는데 최태성 선생님이 학 농민 운동과 을미사변에 대해 강의하는 영상이 보인다. 우울한 역사를 알고나면 기분이 년스럽게 된다.

 

6. 큰방에서는 빠와 저씨들이 파전을 먹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근데 파전은 대한제분의 밀가루로 만들었다고 한다.

By stuart_spivack (a flickr user)

 

7. 부엌에서 먹을 것을 찾으러 갔는데 울산조개어판장에서 사온 조개구이, 고등어구이가 있다. 그리고 고종황제가 야식으로 먹었다는 고종냉면이 있었다

 

Korea.net /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Photographer name)

 

8. 화장실에 갔는데 한일제약에서 나온 신(새로운)약을 먹으니 변비가 다 나은 것처럼 편안했다. 이제는 한일병원에서 약을 타러 가기 위해서 예을 하지 않아도 된다.

20세기 초의 실외 화장실(outhouse). (아리조나 사막의 유령 도시에 있다)

Photograph © Andrew Dunn, 1992.

 

이건 필자가 나름 궁리를 해서  만든 여정 기억법 중 하나인데 나중에 기억을 떠올릴 때는 장소를 이동하며 그곳에 있는 사람들과 사물을 떠올리며 사건을 기억해 낼 수 있다.

 

기억법을 처음 구상할때는  생각하는 게 힘들고 어려운데 이런 작업을 반복하면 훨씬 쉬워질 것이다.

 

그럼 위에 나왔던 16개의 사건을 눈감고 머릿속으로 재생 해보자

그리고 1분 후에 위의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말해보자.


반응형
Comments